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

장애인 · 고령자 등 참정권 과제 - 일본 자료 번역 장애인 · 고령자 등 참정권 과제 - 일본 자료 번역 안녕하십니까. 턱없는 세상을 만드는 기업, 한양하이텍입니다. 2012년은 국가의 4년간의 살림을 맡을 국회의원 선거와 국가를 대표할 대통령 선거까지 총 2번의 선거가 예정되어 있지요. 참정권의 행사라는 부분은 국민 한사람 한사람에게 있어서, 국가에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에게도 예외 없이 참정권이라는 것은 공평하고 평등한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그러나 투표라는 참정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도움을 받거나, 장애인 편의 시설을 이용하여, 투표소로 이동하거나 거소투표 등의 방법을 통해 투표권을 행사하고 있는게 우리의 현실입니다. 오늘부터는 장애인의 투표권 보장에 관한 내용을 블로깅 해보고자 합니다. .. 더보기
[스크랩] 휠체어 직접 탄 기자, 출발 20분 만에 ‘헉헉’ [스크랩] 휠체어 직접 탄 기자, 출발 20분 만에 ‘헉헉’ 오늘 뉴스를 보니 파이낸셜 뉴스의 한 기자분이 장애인 체험 활동을 하고 그 경험을 글로 쓰셨더군요. 참 감회가 깊습니다. 아직은 비장애인 위주의 설계와 이동동선 고려등이 우리 현실속에 있기에 더욱 어렵습니다 하지만 우리 마음속의 배리어프리가 이루어지면 그 모든 물리적 장벽이 사라지는 것은 곧 이루어지지 않을까요.?? 휠체어 직접 탄 기자, 출발 20분 만에 '헉헉' http://media.daum.net/v/20120215150617285 우리 맘속에 장애와 비장애의 차이가 사라지는 그날을 기다립니다. 턱없는 세상® 을 꿈꾸는 배리어프리코리아 / 한양하이텍 더보기
우즈베키스탄 가정 방문 우즈베키스탄 가정 방문 우즈벡 민족의 대부분은 모슬림으로 이사람들은 손님을 매우 귀하게 대접합니다. 성경의 구약 창세기에 나오는 아브라함에게 손님으로 나타나신 "하나님"이 주신 은혜를 생각하여 그들에게 오는 손님은 매우 귀하게 대접하는 것이죠. 모슬림은 이슬람교도를 뜻하는 말인데 왜 "성경"의 말을 인용하냐 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종교적인 부분이라 쉽게 설명드리기는 어렵지만, 간단하게 말씀 드리자면, "성경"에 나오는 대부분의 인물들은 이슬람의 코란에도 등장합니다. 특히 모슬림의 조상이기도 한 "이스마엘"의 아버지가 바로 아브라함입니다. 성경에도, 코란에도, 모두 함께 나오는 인물중의 한명이 아브라함입니다. 멀리서 귀한 손님이 오면, 살아 있는 양을 준비해 놓습니다. 손님이 도착하면, 손님께 살아있.. 더보기
우즈베키스탄 "논" - 리뾰시카 우즈베키스탄 "논" - 리뾰시카 여러분 많이 들어보긴 한 이름인데.... 우즈베키스탄의 논 밭 할때 논인가 할겁니다. "논(畓)" 아닙니다. 먹는 빵을 우즈벡말로 "논"이라고 합니다.러시아어로 "리뾰시카"라고 하죠 구 재정러시아가 중앙아시아 지역을 지배할때 민족성이나 여러가지를 고려하지 않고 국가간의 경계를 지배하기 편하게 나눈 관계로 지금의 국경이 정해졌지만, 이지역은 여러민족이 섞여 생활 하던 지역이라,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다르면서도 거의 비슷합니다. 보통 러시아어로 "리뾰시카"라 하면 "논"이라는 빵을 이야기 하는 것으로 이 "논"이라는 빵은 인도에서 카레를 찍어먹는 "난"하고도 그 제조방식이 같죠 더욱 재미 있는 것은 이곳에도 만두가 있는데 우즈벡말로 "만티"라 부른답니다. 이 빵 굽는 화덕과.. 더보기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와 관련된 법률 정보 안녕하십니까. 턱없는 세상을 만드는 한양하이텍입니다. 오늘은 장애인 편의 시설 설치에 관한 이야기를 적어보겠습니다. 급한 전화를 받고 설명을 드리고, 해당 관공서 담당자 분들과 상의 하면서, 공사를 하다 보니, 많은 건축주와 시설관리자, 건축사 사무소, 관공서 행정, 총무 담당자 분들이 근거를 몰라 우왕좌왕 하는 경우가 있던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특히 건물 신축 및 증축, 리모델링의 경우 대부분 용도 변경등에 따른 지방자치 단체의 준공절차가 있는데 이때 지방자치단체의 시행규칙이나 조례등에 맞지 않게 시공되어 준공이 불가하다거나, 해당 부분을 재검토 후 재시공 하는 경우가 있어 매우 민감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해당 공무원 분이 근거를 제시해주고 함께 해결해 주시면 참 좋겠지만, 과중한 업무에 지쳐있는 경우가.. 더보기
피트 단위의 유래 피트 단위의 유래 원래 피트(feet , 1ft=0.3048m)은 발 크기를 이용해서 거리를 재기 시작한 것에서부터 유래 되었습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다시피 Feet(foot의 복수형)는 발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 로마등의 국가에서는 성인남자들의 발크기의 평균을 이용해서 feet의 기준을 선정하고 여러가지 측량 및 측정에 사용해 왔죠. 이와 비슷한 단위로 한국의 "자" , 일본의 "尺" , 중국의 "尺" 단위가 있습니다. 거리를 재는 것에 있어서 인간의 생각은 서로 비슷했나봅니다. 1ft = 0.3048m 이고 한국의 "1자"=중국의 "1尺"=0.333...m 일본의 "1尺"=0.3030303...m 아마도 세부적인 선정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보니 서로 유사한 정도의 단위가 되지 않.. 더보기
인치나 피트는 뭐지? - 애정남 시리즈 2 인치나 피트는 뭐지? - 애정남 시리즈 2 현장에서 가장 많이 겪는 문제중에는 국내의 모든 단위가 SI단위계로 통일 되었지만, 아직 현장에 남아 있는 다른 단위의 연동 문제 일 겁니다. 대부분의 현장 기술자 라면, 단위 변환 프로그램이나, 스마트폰 앱을 다운받아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을 텐데요. 사실 가장 어려운것이 바로 인치 단위를 읽는 방법일 것입니다. 대부분의 목재가 인치 단위로 생산되고 있고, 현장에서 사용하는 볼트 종류들에도 아직 인치단위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요. 거기에 스테인레스 파이프나, 환봉 들이 아직도 인치단위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간단한 사이즈 중에 38mm 파이프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40mm면 40이지 왜 38mm야 하실텐데 38mm는 1 1/2인치 다시 말하면 1.5인치입.. 더보기
주출입구 접근로에 대한 배리어프리 디자인 적용 - 매개시설 주출입구 접근로에 대한 배리어프리 디자인 적용 여러현장의 일을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배리어프리 디자인의 가장 기본인 시설로, 예외 없이 모든 시설물에 대해 의무 적용이 되어 있는 항목이기도 합니다. 비장애인이건 장애인이건, 어린 유아를 동반한 부모이건간에 해당 시설물 이용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매개 시설입니다. 어린 아이를 태운 유모차를 갖고 동사무소나 은행등을 방문 해보신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기본 법률상 거의 모든 관공서에는 휠체어나 유모차가 통행하기 쉽도록 주출입구 접근로에 경사로를 설치 하게 되어 있어 최근에는 불편함이 많이 줄어들었을 겁니다. 하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식당이나, 상점등 큰 길가에 있는 보도 등에서는 해당 매개시설의 부족으로 접근이 매우 어려운 것을 경험하실때가 있으실텐데요.. 더보기
볼트와 관련된 현장 용어 - 애정남 시리즈 1 볼트와 관련된 현장 용어 - 애정남 시리즈 1 볼트와 관련해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 삼부볼트, 연부볼트,고부볼트, 등등등 듣는 사람에 따라서는 고무볼트(???) 고무로 만든볼트? 영부볼트 다양합니다. 이게 원래 인치 볼트를 부르는 단위 입니다만. 워낙여러가지 명칭으로 불리다 보니.. 한번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것 같아. 끄적끄적 써 봅니다. 인치 볼트를 부르는 표현은 모두 "x/8" 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렇게 "8분에 얼마" 하는 식의 단위는 인치단위를 읽는 방법 때문에 그렇습니다. 가장 많이 쓰는 삼부볼트라는 단어의 의미도 "3/8" 인치 볼트라는 뜻이죠 삼부 라는 표현은 "3분"를 일본어로 읽은 표현인데. 바로 "3分" 을 일본어로 읽으면 "さんぶ" 우리 발음으로 "산부"가 되는 것입니다. 따.. 더보기
일본의 특수 선박 - 케이슨 독 Caisson Dock 일본의 특수 선박 - 케이슨 독 Caisson Dock 예전에 근무했던 토목회사에서 구매하게 된 케이슨 독 해양공사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계로 일본과 같은 섬나라에서는 그 수요가 매우 많습니다. 국내에서도 사용처는 많습니다만, 주로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관계로 Floating Dock(플로팅 독, 또는 플로팅도크)라하죠. 아래 사진은 부산에 있는 조선소가 사용하는 플로팅 독 입니다. 플로팅 독을 적당한 수심의 바다로 나아가서 물속으로 잠수를 시킵니다. 잠수 시키기 전에 아래와 같은 받침대를 먼저 설치 해 놓습니다. 이후 물속으로 잠수 하게 되면 배의 양 날개 사이로 물이 차게 되겠죠... 그러면 그 사이로 수리 할 배를 들어가게 합니다. 잠수부들이 배 하부의 받침 놓인 상태를 확인하면서 양쪽 발라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