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실버 주택 개조의 기본 - 배리어프리 디자인의 시작
여러분 장애인 주택의 개조라는 제목이 너무 부담되셨나요. 간단히 말씀 드리면, 배리어프리 디자인의 기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형빌딩이나, 학교, 관공서 위주로 배리어프리가 진행되어 우리 주변 생활 속에서 경험하기 어렵고,
왠지 국가적 차원, 지방자치단체, 대형빌딩에서나 필요한 일이라 느끼실 겁니다.
하지만 가장 필요로 하는 부분은 사실 장애인이나 노인이 주거하는 공간인 주택입니다.
주택은 의식주 중에서 가장 근본인 부분이죠, 하루 24시간 중 70% 이상인 17시간 정도의 생활하는 곳이 바로 집입니다.
사람이 대략 70년 정도를 산다 하면,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은 거의 50년에 해당합니다. 정말 엄청난 시간이지요.
이러한 주택 개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며, 가장 먼저 확인 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높이 입니다.
장애인이나, 노인, 임산부, 사회적으로 소외 받는 사람들을 위한 디자인은 바로 높이차를 해소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장애인 한명 한명이 스스로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항이기에 높이차를 해소하는 것도, 장애인이나, 노인이 스스로 자신의 뜻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주택의 개조하는 것이죠.
휠체어 장애인의 측면 접근성
위의 그림을 보시면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의 측면 접근성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장애에 따라 각각의 적합한 높이가 결정되기 때문에 주택 개조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자료입니다.
치수상에서 가장 하단에 있는
A는
일반적으로 콘센트나.우유투입구 또는 가방등을 놓는 높이로 적당한 높이입니다. 이 높이는 휠체어 탑승자가 움직일수 있는 가장 낮은 위치라 볼수 있습니다.
B는
창문등의 고정 걸쇠(크레센드) 높이 입니다. 일반 창호의 경우는 고정걸쇠가 높게 설치되어 환기시나, 외출시에 장애인이 스스로 창을 열거나 닫거나 하지 못하게 됩니다. 장애인이 생활하는 공간이라면, 고정걸쇠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도 중요한 사항입니다.
C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누전차단기, 책장등의 선반등의 수납공간의 높이로 생각하면 됩니다.
D는
다른 세가지 치수와 달리 수평 거리를 나타내는데요. 이 수평거리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 싱크대 등을 제작 할때 중요한 수치입니다. 장애인의 신체 특성을 실제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휠체어 장애인의 정면 접근성
위의 정면 접근성에서 가장 중요한 2가지는 킥플레이트의 높이(A) 그리고 무릎까지의 높이(C) 입니다.
A는 킥플레이트의 높이로 이 높이까지의 부분에 장애물이 있거나 막혀 있게되면, 사물로의 접근이 어렵게 됩니다.
B는 휠체어의 의자면 높이입니다. 이 의자면의 높이는 변기의 높이, 침대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입니다.
C는 세면대나, 싱크대의 하단까지의 높이로, 이 높이가 확보되어야 장애인이 스스로 세면을 하거나, 설거지를 할 수 있게 됩니다.
D는 테이블의 높이로, 얇고 튼튼한 테이블을 제작하여, C 높이까지 비워두고, D 높이에 테이블 면이 놓이게 하면 장애인이 사용하기 편리한 테이블이 되는 것이죠.
E는 티비의 조정판넬이나, 스위치, 창의 하단을 결정하는 높이가 됩니다.
F는 첫번째 그림의 선반 높이와 같이 가장 높은 구간으로 선반이나, 누전차단기등 평상시에 잘 사용하지 않는 것을 올려 놓거나 설치하는 높이입니다.
이런 치수가 무시되게 되면, 장애인들은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나, 장비에 접근이 불가능해지기에 장애인 주택을 리모델링 할때 가장 주의깊게 확인 하여야 하는 치수입니다.
은행이나, 주민센터등의 공공시설물에 접근하는 장애인이 어려워 하는 부분도 정면 접근성 치수중 A와 C가 고려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들입니다.
은행의 현금자동인출기의 경우는 보안등의 이유로 하단이 거의 평평합니다. 거기에 작동화면의 위치가 대단히 높죠
이러한 이유로 휠체어 장애인들이 은행 현금지급기를 이용할 때에는 대부분 정면 접근보다, 측면 접근을 하게 됩니다.(일러스트 참조). 사실 그마저도 어려울때가 많습니다.
이러한 치수의 확인은 주택 개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체크포인트 입니다.
궁금하신 사항이나 견적 요청등의 사항은 주저하지 마시고 연락 주십시요. 080-852-3215
이곳까지 보신 분들, 아래의 추천 버튼 꾸~~~욱 눌러 주시면
더욱 열심히 포스팅 할 힘이 생긴답니다. 감사합니다.
'배리어프리 디자인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장애인을 안내하는 점자촉지도 (0) | 2012.02.21 |
---|---|
인류와 함께한 배리어프리의 역사 (0) | 2012.02.13 |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 경보기 (0) | 2009.12.16 |
장애인을 위한 핸드레일의 설치 - 보행권을 보장하는 기본 설비 (0) | 2009.04.27 |
장애인, 실버 주택 개조의 기본 2 - 배리어프리 디자인의 시작 (0) | 2008.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