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을 위한 핸드레일의 설치 - 보행권을 보장하는 기본 설비
핸드레일은 "계단 또는 단차가 발생한 구간, 추락 전도등의 위험이 있는 구간을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수 있도록 설치하는 손잡이"를 말합니다.
장애인을 위한 핸드레일의 설치는 일반적인 핸드레일의 설치와는 다른점이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연속성" 입니다.
장애인용 핸드레일은 장애인의 보행을 도와주기 위한 시설물로,
일반적인 범위의 핸드레일 설치와는 달리, 재질과 직경, 설치 높이등에 대해 상세한 설치 기준이 있습니다.
다른 나라의 경우, 통로 주변에 있는 점검구 출입 시설이나 소화전도어 등으로 인하여
손잡이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도 위 사진과 같이 손잡이가 단절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장애인의 보행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연속되지 않은 손잡이는 장애인의 보행에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장애인의 보행특성은 어떻게 될까요. 한번 정리 해 보았습니다.
1. 보행시 발을 끌며 이동 :
작은 돌이나 2cm 미만의 작은 턱에도 걸려서 넘어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
2. 손잡이 등의 보조 설비가 없을 경우 :
2~3 보 이동 후 정지 또는 기댈 물체를 찾아 기댄다.
매끈하고 긴 통로 또는 계단은 오히려 장애인에겐 보행이 불가능한 장애구간이 됩니다.
3. 보행시 좋아하는 방향이 있다(좌측 통행, 우측통행 등) :
몸에 장애가 있게되면 보행시, 지지력이 좋은쪽의 다리를 주로 사용하며 이동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지지력이 좋은 다리가 이동하는 순간, 다른 한편의 다리로 지탱하게 되는데
그때의 다리의 힘은 약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오른쪽 다리를 주로 사용하는 사람은 우측 통행을,
왼쪽 다리를 주로 사용하는 사람은 좌측 통행을 합니다.
4. 뇌 병변 장애인의 보행은 흔들림이 있어, 매우 불안해 보이지만, 그들을 돕기 위해 흔들리지
않게 옆에서 보조 해주면 보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이상의 장애인 일반 보행 특성을 종합해 보면 핸드레일 설치의 포인트를 알 수 있게 됩니다.
장애인 핸드레일의 설치시에는,
1. 가능한한 연속으로 연결 설치 (구부러진 곳이나 곡선 구간도 그 형태를 따라 설치)
2. 피치 못해 단절되는 구간이 발생할 시에도 2~3 보 이상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3. 양측설치를 원칙으로 설치합니다.
4. 장애 아동 등의 사용도 편리하도록 높이 55~60cm 구간과 85~90cm 구간에 각각 핸드레일을 설치 합니다.
5. 해당 핸드레일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핸드레일의 선정과 설치
a. 수직형 핸드레일의 경우: 잡고 일어서기 편리한 32~35mm 직경의 핸드레일
b. 통로 구간핸드레일은 보행시: 지지하기가 쉬운 38~50mm 이내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핸드레일
c. 계단 등의 경사구간: 쥐기 쉽고, 지지력이 충분한 38mm 정도의 원형 핸드레일
더 자세한 사항은 저희 고객 센터로 문의해 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객센터 : 031-665-5252, bf21@bf21.kr)
'배리어프리 디자인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장애인을 안내하는 점자촉지도 (0) | 2012.02.21 |
---|---|
인류와 함께한 배리어프리의 역사 (0) | 2012.02.13 |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 경보기 (0) | 2009.12.16 |
장애인, 실버 주택 개조의 기본 2 - 배리어프리 디자인의 시작 (0) | 2008.03.20 |
장애인, 실버 주택 개조의 기본 - 배리어프리 디자인의 시작 (0) | 2008.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