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배리어프리 디자인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파트 경사로 설계 아파트 경사로 설계 안녕하십니까. 턱없는 세상을 만드는 한양하이텍/배리어프리코리아 입니다. 지난 15일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장애인 시설 기준에 부합하는 아파트 주출입구 진입로에 경사로를 시공하려 한다고 연락을 받고 현장을 방문해서, 견적과 설계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에 준공된 아파트로 이미 기존 경사로가 있었지만, 장애인의 이동 동선을 고려해서, 아파트 뒷편 주차장에서도 진입이 편리하도록 뒷쪽 출입구에 경사로를 추가하려는 계획입니다. 아직은 기획 단계의 자료인 관계로 3D 도면 만 올려 놓겠습니다. 차후 진행이 되면 해당 상세 내역과 시공 사진을 함께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더보기 평택00초등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공사 2009년2월 시공 현장으로 기존의 낙후된 학교 현관 및 장애인 슬로프구간 리도델링 공사입니다. 추가적으로 복도 및 화장실에 장애인 편의시설 시공 사진도 보실수 있습니다 더보기 평택 안중 OO초등학교 장애인 화장실 리모델링 지난 2009년 실시한 공사입니다. 특별한 개조 보다도 장애인 휠체어가 진입 가능하도록 출입문을 변경한 것이 가장 핵심인 공사였습니다. 위 스케치는 학교에서 말씀하신 내용을 토대로 간략하게 스케치하여 협의때 사용한 도면입니다. 이제 아래 내용은 공사전부터 완료까지 사진입니다. 더보기 장애인 핸드레일 설치 방법과 벽체 종류별 고정방법 여러분 오랫만에 인사드립니다. 그동안 여러분이 궁금해 하시던 부분을 찾아 해결방법을 제시해 드리는 개발팀입니다.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쉽게 시공하시는 핸드레일이지만 처음이신 분들은 무엇이 먼저인지 궁금하셨죠. 간단한 사진과 도면을 통해 시공방법과 벽체 종류별 고정 방법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시공하시는 것이 일반적인 순서입니다. 여기에 보조로 필요한 공구 및 측정도구를 설명드리자면, 레이저 레벨, 14MM 콘크리트드릴, 진공청소기 등이 벽체 천공에 필요한 공구이며, 설치시에는 14MM 자동스패너 및 결속공구, 전기드릴, 일반드릴 3.8MM 다수, 절단톱과 충전식 드라이버 등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순서로 가능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도면은 벽체 종류별 고정방법.. 더보기 단차를 없애주는 경사로 그동안 문턱이나 건물의 단차로 인해 불편하셨던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단차를 제거하려면 대부분 무늬강판을 절곡하여 시공하셨을 겁니다. 이런 시공의 가장 어려운 점은 정확하게 측정하고 절곡업체(샤링집)에 제작 부탁해서 현장에서 드릴링하고 용접시공등을 하여야 했죠 턱이 있어 어려운점은 전세계 어느 국가의 사람에게나 똑같은 문제인가 봅니다. 지난 2009년 12월 평택 팽성 미군기지 이전공사 현장에서의 요구 사항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은 군사기지 라는 단어에서 장애인과는 관계가 없을 텐데 라는 생각을 하고 계실 겁니다. 아래의 사진은 미군기지 이전 사업단내의 미군감독관 사무실 출입구로 출입구 진입 경로상에 있는 크고작은 단차를 경사면으로 만들어 경사를 제거해 달라는 것이 미군감독관들의 요구사항이였습니.. 더보기 용인 N 초등학교 장애인 손잡이 설치 용인 보라지구내 초등학교의 핸드레일 설치 전, 후의 사진입니다. 더보기 * 장애인 경사로의 설계와 시공 기준에 맞지 않은 경사로는 없는 것만 못합니다. 왜일까요... 경사로의 개선 필요성을 못 느끼기 때문입니다. 일반인이 느끼는 경사로의 각도와 장애가 있는 분들이 느끼는 경사로의 각도에는 크나큰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쉽게 느낌이 오실런지요...... 일단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경사가 급한 경우 휠체어가 넘어지기도 하기에 매우 위험하지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인체의 무게 중심은 서 있을때 배꼽 주변이지만, 휠체어 등에 앉아 있으면, 허리 뒷편으로 이동하지요. 휠체어가 급한 경사로를 오를때면, 무게중심이 휠체어 바퀴보다 뒤쪽으로 옮겨가게 되고, 거기에다 오르기 위해 바퀴를 손으로 밀면 바퀴를 돌리는 힘이 휠체어를 뒤로 넘겨버리게 됩니다. 오랜 경험이 있는.. 더보기 * 교육시설의 배리어프리 디자인 적용 - 출입문 편 학교는 인간이 태어나서 지식을 습득하며 인간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사회로써 아주 중요한 곳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이러한 점은 장애를 지닌 아동의 경우에도 예외는 아닙니다. 교육 받을 권리는 인간의 기본 권리이자 욕구라 할 수 있고, 대한민국 헌법에서도 교육받을 권리에 대해서 정의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까요?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우리들은 조금더 냉정한 관점에서 바라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사료됩니다. 우리들이 제시하는 아름다운 미래의 청사진에 비해 아직까지도 많은 교육 현장에서는 시설낙후, 인식부족과 예산부족 등으로 인하여 많은 장애 학생들이 불편한 환경 속에서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건강한 육체를 가진 일반적인 사람들은 '약간 불편한 것이 뭐 어때!' 라고 생각해 버릴 수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