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소식

지난 해 등록된 실용신안입니다. 리모델링 현장에서 겪은 어려움을 토대로 아이디어를 내어 놓은 안전난간 구조가 실용신안을 받았습니다. 항상 최선을 다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경험을 통해 최선의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여러분의 성원에 최선을 다하는 저희 한양하이텍 / 배리어프리코리아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더보기
흰지팡이의 날 시각장애우가 사용하는 하얀 지팡이를 보신 분들이 계시죠. 흰 지팡이는 시각장애인의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보조 도구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흰 지팡이는 시각장애인을 상징하는 물건이기도 하죠. 세계맹인연합회에서는 시각장애인의 권익 옹호와 복지증진을 위해 매년 10월 15일을 "흰지팡이의 날"로 지정하고 행사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시각장애인 권익증진을 위해 같은 10월 15일을 흰 지팡이의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글은 시각장애인 협회 홈페이지에 있는 글을 인용한 것입니다. ======================================================================================================================.. 더보기
눈이 불편한 사람에 대한 배려/맹도견에 대한 이해…- 배리어프리의 시작은 배려의 마음으로부터 시각장애의 종류도 사람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완전한 시각능력 소실에서 고도 약시등..... 상황에 따라서는 도움의 방법이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시각장애인이 흰 지팡이를 들고 있다고 모두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에는 시각장애인과 함께 하는 배려요령을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내의 방법 말걸기 말걸기는 여러분이 상대방에게, 적당하고 부드러운 톤의 목소리로, 먼저 겁니다. 인사등을 건넨다면 더욱 좋겠죠. 위치 안내 장소등을 안내 할때에는 간략하고 구체적으로 몇번째 신호등, 좌, 우로 실시합니다. 가능하다면 알기쉬운 곳까지 직접 안내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직접 안내 하는 요령 흰 지팡이(White Cane)는 시각장애인에게 있어서는 「눈」과 같은 존재입니다. 직접안내 하는 경우 흰지.. 더보기
점자블록, 쉽지만 어려운 현실.... 안녕하십니까. 배리어프리 홈지기입니다. 오늘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럭의 이야기를 한번 올려 보겠습니다. 현장에서 가장 많이 겪는 현실의 괴리감을 함께 나누고 싶군요... 1. 점자블럭의 정의 점자블럭은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돕고자 통행로 상에 설치되는 점형 또는 선형의 블럭을 뜻합니다. 점자블럭은 의미에 따라 선형, 점형 두가지로 분류되며, 재질에 따라 타일형, 보도블럭형, 접착형, 리벳형(이른바 비규격품) 등으로 구분됩니다. 선형 점자블럭 : 유도블럭이라고도 불리우며, 선형이 길게 연결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점형 점자블럭 : 경고 및 주의를 의미하며, 출입문, 계단, 엘리베이터 등의 앞이나, 방향의 전환등을 나타냅니다. 2. 현실 속의 점자블럭 하고픈 이야기가 많아지는 부분입니다. .. 더보기
from Ildaro.com : 그녀가 강좌 수강을 포기한 이유 - 장애인과 동행하면서 알게 된 ‘불편함’ 오늘 문득 인터넷 서핑중 읽게된 글 하나... 여러분도 보셨으면 하는 마음에 퍼올렸습니다. from ildaro.com / 일다의 방 그녀가 강좌 수강을 포기한 이유 장애인과 동행하면서 알게 된 ‘불편함’ 여성주의 저널 일다 김소희 장애인과 동행을 하면서, 비로소 알게 된 것들이 있다. 그 중에서 우리사회에서 겪게 된 ‘불편함’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노력으로 극복할 수 없는 문제에 봉착하다 야학교사를 하기로 결심했을 때, 그곳에 장애인이 있다는 사실을 크게 염두에 두지 않았다. 세상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기 마련이고, 그러니 야학이라는 공간에 한데 섞여있는 게 대수랴 싶었다. 사람마다 다 다르고, 다른 사람들끼리 모여 있으면 어느 정도 불편함을 감수하는 게 당연하지, 그렇게 생각하.. 더보기
장애인 관련 건축디자인의 개념 무장애 디자인(Barrier-free Design) 무장애 디자인이란, 장애인 복지의 기본이념인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건물이나 도시, 시설물을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에 아무런 불편이 없도록 만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이 용어의 사전적 의미는 장애(barrier)를 없앤다(free)라고 해석된다. 다시 말하면 장애인이 장벽으로 느끼는 물리적인 장애를 제거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디자인 개념의 발단은 1974년 국제연합 장애인 생활환경 전문가 회의에서 '무장애 디자인'에 관한 보고서에 의한 것이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비장애인의 동등한 기회를 제공의 목적으로 하며, 둘째 노인이나 장애인의 일상생활에서 이들의 사회참여를 막는 것을 장애.. 더보기
한국 고령사회의 현실을 알자 - 01 현실을 정확히 아는 것이 미래를 대비해 나아갈 수 있는 힘이 됨은 누구나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구체적인 행동에 옮기어 실현화 시키는 이들 또한 그다지 많지 않다는 사실 또한 우리는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저희 ‘배리어프리 코리아’에서는 [한국 고령사회의 현실을 알자] 라는 테마를 설정하여 한국의 현대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고령사회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수집과 교류를 통하여 우리 스스로가 함께 능동적으로 고민하며 그에 대한 방안책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사회의 주인이 되길 소망합니다. 물론 사회적 제도를 통한 지원과 육성이 그 무엇 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은 무시할 수 없으나 제도에만 의존하는 수동적 자세를 벗어나 을 위한 제도를 앞으로 이용해 나갈 우리 개인 한 사람 한 사람, 단체, 기관, 기.. 더보기
경향 닷컴 2009년 하반기 [유망브랜드 대상] 장애가 차별이 되지 않도록...‘배리어프리코리아’ 아래의 내용은 경향 닷컴의 2009년 하반기 [유망브랜드 대상]에서 스크립한 내용입니다. 여러분의 성원에 저희 배리어프리코리아가 유망브랜드 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앞으로 더욱 열심히 여러분을 위해 달려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세상 모든 장애우들이 행복한 그날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장벽을 없애는...’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모두가 함께 누려나갈 건축 및 리모델링을 제안하는 ‘배리어프리 코리아’가 [경향닷컴 2009년 하반기 유망 브랜드대상] 건설 분야에 선정되며 한걸음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배리어프리코리아(www.barrierfree.co.kr)는 1974년 4월 1일 첫 사업을 시작한 한양하이텍의 자회사로 지난 35년간 핸드레일 등의 건축자재와 가전제품의 중요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 해온 경험과.. 더보기
* 인류와 함께한 배리어프리의 역사 여러분 오늘은 배리어프리의 역사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에서 단어를 찾아보면, 배리어프리는 1974년부터 사용된 단어라는 백과사전의 결과를 확인하실수 있으실텐데요. 사실 인류에게 있어서 "배리어프리 / Barrierfree"라는 단어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온 단어라고 표현 할수 있습니다. 조금은 다른이야기 일수 있지만, 배리어프리라는 단어의 뜻은 "장벽을 없애는...." 이라는 의미로 넓은 의미에서 인류는 주변의 다양한 장벽을 허물어 가며 발전해 왔습니다. 인류의 역사 속에서 배리어프리는 최초로 공간의 장벽을 없애는 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아주 작은 예는 사진과 같이 작은 하천을 건너고 극복하기 위해 다리를 놓은 일부터 시작 등이라 할수 있지요. 작은 하천을 이상 없이 건널수 있게.. 더보기
* 배리어프리 디자인의 탄생 아직은 낯설고 어려운 단어. " Barrierfree" 어렵게 어렵게 찾은 자료로, UN 장애인 생활환경전분가회의에서 보고서로 채택된 "배리어프리 디자인 보고서" 표지입니다. 편집 Susan Hammerman, Barbara Duncan, 표지 디자인은 Barbara Duncan 이 단어는 1974년 국제연합 장애인생활환경전문가회의에서 '장벽 없는 건축 설계(barrier free design)'에 관한 보고서가 나오면서 건축학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일본·스웨덴·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휠체어를 탄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일반인과 다름 없이 편하게 살 수 있게 하자는 뜻에서 주택이나 공공시설을 지을 때 문턱을 없애자는 운동을 전개하면서 세계 곳곳으로 확산되었죠. 특히 스웨덴의 경우에는 1.. 더보기